네 가지를 인정하면 인생살이가 한결 수월하다
첫째 : 제행무상(諸行無常)
태어나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
... 형태 있는 것은 반드시 소멸한다.
'나도 꼭 죽는다' 라고 인정하고 세상을 살아라.
죽음을 감지하는 속도는 나이별로 다르다고 한다.
청년에게 죽음을 설파 한들...자기일 아니라고 팔짱을 끼지만
노인에게 죽음은 버스정류장에서 차를 기다림과 같나니
하늘. 부모. 남편. 아내라 할지라도
그 길을 막아주지 못하고, 대신 가지 못하고, 함께 가지 못한다.
하루 하루, 촌음(寸陰)을 아끼고 후회 없는 삶을 사는 것이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유일한 외길(오직 한 길)이다.
둘째 :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나면 헤어짐이 세상사 법칙이요 진리이다.
사랑하는 사람. 일가친척. 남편. 부인. 자식. 명예. 부귀영화
영원히 움켜쥐고 싶지만..하나 둘 모두 내 곁을 떠나간다.
인생살이가 쉼 없는 연속적인 흐름인 줄 알아야 한다.
매달리고 집착하고 놓고 싶지 않는 그 마음이
바로 괴로움의 원인이며 만병의 시작이니,
마음을 새털같이 가볍게 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셋째 : 원증회고(怨憎會苦)
미운 사람, 싫은 것, 바라지 않는 일.. 반드시 만나게 된다.
원수. 가해자. 아픔을 준 사람. 꼴도 보기 싫은 사람도
만나게 되며, 가난. 불행. 병고. 이별. 죽음등
내가 피하고 싶은 것들이 나를 찾아온다.
세상은 돈다..빙글빙글...주기적 싸이클로...
나도 자연의 일부인 만큼 싸이클이 주기적으로 찾아온다.
이를 '라이프 싸이클(life cycle)'이라한다.
현명하고 지혜롭고 매사에 긍정적인 사람은 능히 헤쳐 나가지만
우둔하고 어리석고 매사에 소극적인 사람은
그 파도에 휩쓸리나니
늘 마음을 비우고 베풀며 살아라.
넷째 : 구득불고(求得不苦)
구하고자..얻고자..성공하고자..행복하고자..하지만
세상 살이가 그렇게 만만치 않다.
내가 마음 먹은 대로 다 이루어지면 고통도 없고 좋으련만
모든 것은 유한적인데 비해 사람 욕심은 무한대이므로
아무리 퍼 부어도 채워지지 않는 항아리와 같다.
그러므로 욕심덩이 가득한 마음을 조금씩 털어 비워가야 한다.
자꾸 털어내고 가볍게 할 때..
만족감..행복감..즐거움이 그를 따른다.
마치 형체를 따르는 그림자와 같이...더 보기
- 1.인생의 다섯 가지 괴로움. 생로병사(生老病死),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이다.
- 2.미계(迷界)의 다섯 가지 괴로움. 제천고, 인도고, 축생고(畜生苦), 아귀고(餓鬼苦), 지옥고(地獄...
- 사람이 세상에서 면하기 어렵다고 하는 여덟 가지 괴로움. 곧 생고, 노고, 병고, 사고,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를 이른다.
'칠난'은 그 출전(出典)에 따라 3종이 있다.
①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의 소설(所說)은 일월실도난(日月失度難:태양 및 달의 이변), 성수실도난(星宿失度難:별의 운행의 이변), 재화난(災火難:화재), 우수난(雨水難:홍수), 악풍난(惡風難:태풍), 항양난(亢陽難:가뭄), 악적난(惡賊難:전쟁)을 말한다. ② 《악사경(樂師經)》의 소설은 인민질역난(人民疾疫難)·타국침핍난(他國侵逼難)·자계반역난(自界叛逆難)·성수변화난(星宿變化難)·일월박식난(日月薄蝕難)·비시풍우난(非時風雨難)·과시불우난(過時不雨難) 등이다. ③ 지의(智顗)의저술 《관음의소(觀音義疏)》에서는 화난(火難)·수난(水難)·나찰난(羅刹難:악령에 의한 재난)·왕난(王難)·귀난(鬼難:死靈에 의한 재난)·가쇄난(枷鎖難:옥에 갇히는 재난)·원적난(怨賊難) 등을 말한다.
한편, '팔고'는 생(生)·로(老)·병(病)·사(死)의 인간 고뇌의 근본원인인 4고에, 애별리고(愛別離苦: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고통), 원증회고(怨憎會苦:원한이 있고 증오하는 사람과 만나는 고통), 구부득고(求不得苦:바라도 얻을 수 없는 고통), 오음성고(五陰盛苦:色·受·想·行·識의 五蘊에서 생기는 고통)를 말한다.
칠난팔고는 후에 인성(人性)의 모든 고난·고통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였다
[출처] 칠난팔고 [七難八苦 ] | 네이버 백과사전
'산사의 풍경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대사의 선시 < 답설야중거> (0) | 2012.07.23 |
---|---|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天上天下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1) | 2012.02.13 |
法頂 스님이 좌우명처럼 여기던 글 (0) | 2011.04.21 |
숫타니 파타/ 法頂- 책을 소개 하며 (0) | 2011.03.30 |
사원의 구조와 그 의미 (0) | 201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