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대통령의 성공 가능성
|
- 김상태 한남대 정치언론국제 학과 교수 - |
|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여성에 대한 편견이 많이 남아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판단하는 데 다음의 이분법이 거론된다. 강함-약함, 적극성-소극성, 능력-무능력, 독립성-종속성, 질서-무질서로 구분하는데 전자가 남성을 뜻하며 후자는 여성을 의미한다. 신체, 능력, 성향 등 모든 면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이분법의 편견으로 말미암아 적지 않은 여성들이 소외되고 피해를 입었다. 국내정치와 사회에서는 여성 리더들이 적지 않았으나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도 국제정치에서는 여성의 역할을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페미니스트 여성 정치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전쟁 후 복구과정에서의 여성의 역할, 외교관 배우자로서의 막후 역할, 가정의 안정과 영속성에 기여하는 바를 주목하며 여성들이 국제정치 분야에서도 무시 못할 역할을 해왔다고 보고 있다. 제인 구달과 프랜스 드월과 같은 유인원 학자들에 따르면 표면적으로는 수컷 침팬지나 보노보가 최고 보스 역할을 하며 강력해 보이나, 보다 깊이 관찰을 하면 암컷 침팬지나 보노보의 역할이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치열한 권력 다툼으로 강한 수컷이 최고 보스가 되더라도, 권력서열이 높은 암컷들의 최종적인 지지를 얻어야 비로소 수컷이 지도력을 발휘한다고 한다. 최근 미국의 여성 국무장관들의 활약에 관해 미국의 언론과 미디어에서 집중 보도했다. 부시 정권 시절의 라이스 국무장관과 현 오바마 정권의 힐러리 국무장관에 관한 보도인데, 라이스 국무장관은 특히 흑인 여성 장관으로서 미 국방부와 백악관의 무시와 냉대에도 불구하고 끊기 있게 임무를 수행하여, 매듭은 짓지 못했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과의 포괄적인 평화협정을 성사시키고자 줄기차게 노력했음을 인정했다. 힐러리 클린턴의 경우는 보다 성공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힐러리의 외교정책은 우선 저개발 국가들에 대한 원조와 여성과 아동들을 포함한 소외계층에 관한 각별한 관심으로 국제적 신망을 얻었으며, 성급한 군사력 사용보다는 세심한 외교협상 그리고 다양한 사회계층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며 또한 필요시에는 단호한 정책으로 테러단체, 리비아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유럽에서는 독일의 메르켈 총리를 비롯하여 다섯 명의 총리와 대통령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도 여성 대통령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호주에서는 길러드 총리가 그리고 태국에서는 잉락 친나왓 총리, 인도에서는 여성 대통령이 방글라데시에서는 여성 총리가 활약 중이다. 과연 한국에서 여성 대통령이 선출될 수 있으며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인가? 한국의 관습, 여성에 관한 편견으로 수월하지 않으리라 판단한다. 그러나, 최근의 국내외 상황에 비춰보면 여성 대통령이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국내에서 여성 특유의 따뜻한 감성에 바탕한 체계적이며 다양한 복지정책에 관한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을 상대로 한 섬세한 외교정책으로 강대국들의 이해를 이끌어내 통일에의 기틀을 닦는 시대적 요구가 점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에서의 여성 대통령의 선출과 역할도 가능하다고 본다. 한국의 대통령은 만능적인 역할을 할 수가 없다. 대통령은 굵직한 부문에서 뚜렷한 변화를 일궈내야 한다. 지속적 경제안정과 발전, 민주주의의 심화, 국민복지와 국내화합, 그리고 선진대국으로 가는 남북통일 토대 마련이다. 때때로 위와 같은 굵직한 목표들 간에는 상반성이 있어 양자택일을 해야 할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대통령은 정책결정을 효과적으로 해야 한다. 살아 있는 소 한 마리 가지고 스테이크도 먹고 우유도 계속 먹을 수는 없다. 국민들이 고기도 먹고 우유를 먹겠다고 미디어를 통해 인기를 노리는 불확실하고 어중간한 대통령을 선택한다면 국가의 앞날이 결코 밝지 못할 것이다. 한국에서 여성 대통령이 유연하고 세련된 강대국외교와 함께 유능한 참모와 국가안보에 관한 권한을 함께하여 통일의 기틀을 확고히 하며, 섬세한 복지와 경제를 통한 사회안정을 꾀할 수 있다면 역사적인 여성 대통령으로 기억될 것이다. 무엇보다 성공적인 한국 여성 대통령은 한국 여성의 자존심을 세우고 미래 국가발전의 근간인 여성 인력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