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연료 폐기물은 그 자체가 고준위 방사성 물질입니다. 열을 식히고 방사능에 오염되지 않도록 특별 관리가 필요한데요, 우리나라에선 각 원자력 발전소에 있는 대형 수조에 차곡차곡 쌓아두는 임시 저장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저장시설이 없으면 당연히 원자력 발전 자체도 할 수 없다는 논리가 성립합니다. 원전을 대신할 대체 에너지 개발이 미흡한 상태인 지금으로선 방법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땅 속에 동굴을 파고 30만년, 40만년 묻어두는 '영구처분' 방식은 부지 선정이나 안전성 문제로 이론상으로만 가능할 뿐, 전 세계에서 실행하는 나라가 없습니다.
그럼 새로운 저장시설을 만드는 건 어떨까? 하지만 중.저준위 방폐장인 경주 방폐장을 건설하는데만도 부지선정에 19년, 지금까지 건설에 9년이 걸리고 있습니다. 내년 6월 완공이라니 29년 걸리는 셈이죠. 그 전에 부안 사태 등 엄청난 대가를 치렀던 것을 생각하면 정말 '뜨거운 감자'가 아닐 수 없습니다.

지식경제부 최태현 원전산업정책관의 말입니다.

사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재처리'입니다.
사용후 핵연료 폐기물을 '재처리'하면 실제 폐기물 양을 90% 이상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때 추출되는 플루토늄이 문제입니다. 미국의 '관심'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원자력 협정에 묶여 '재처리'가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특히 북한의 핵실험은 '재처리' 가능성을 점점 더 멀어지게 했습니다. (미국은 일본의 '성실성'을 믿는다고 합니다. 핵무기를 만들 의지가 없다며 재처리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아량'을 베풀고 있습니다.)
서울대 원자핵 공학과 서균렬 교수의 말입니다.

또 하나…. 그동안 원자력 발전을 두고 '건설'에만 치중했던 정부의 성과주의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정책적 '실기'를 지적해야 합니다. 서 교수의 말 이어집니다.
"원자력 발전을 하면서 건설에 주력하다보니 출구전략을 마련하는데 우리가 실기한 겁니다. 사실 15년 전부터 준비해서 지금쯤 지어졌어야 하는데, 기회를 놓친거죠."
현실적인 대체 에너지를 구할 수 없는 한 이 문제는 반드시 풀어야 합니다. 박근혜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미국을 향한 '원자력 협정' 개정 필요성에 대한 뉴스와 흐름을 면밀히 지켜봐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