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는 사랑' '흐르는 사랑' 진정한 사랑이 존재하면 도움을 주든지 받든지 그것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것은 그저 흐르는 물과 같고 어느 곳에서 흘러나오든지 아름답다. 정확히 말해 그건 주고받는 느낌이 아니며, 깊은 사랑이 존재하는 곳에서 일어나는 행위일 따름이다. - 브랜든 베이스.. 인간경영,행복경영 2014.11.07
쇠퇴하는 대전,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 2. 쇠퇴하는 대전,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 [기고] 육동일 충남대 교수 겸 공공문제연구소장 육동일2014.11.04 11:15:03 ▲ 육동일 충남대 교수. 지난 기고한 '쇠퇴하는 대전, 이대로 포기할 것인'는 디트뉴스에서 가장 많이 본 기사 1위, 가장 댓글 많은 기사 1위로 선정되는 등 시민들로부터 뜨거운 .. 역사이야기 2014.11.05
내가 먹은 음식물 어떻게 피와 살이 될까요?? 작은 창자 400만개 융털이 영양소 흡수 ‘어린이 과학 형사대 CSI’ 글: 고희정 그림: 서용남 가나출판사 옛말에 ‘밥이 보약’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파서 밥맛이 없을 때면 어른들께 꼭 듣게 되는 말인데요. 사실 이 말은 과학적으로도 맞는 말입니다. 음식물 속에 들어있는 영양소는 .. 과학과 기술 이야기 2014.11.01
1919년 3.1운동의 근원지, 탑골공원에 가다 작성자는 글쓰기 또는 수정하기 화면 하단의 검색설정에서 검색허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현장취재] 1919년 3.1운동의 근원지, 탑골공원에 가다| 2014.03.20 17:31 닫기 1919년 3.1운동의 근원지, 탑골공원에 가다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 내 근대 공원. 1919년 3.1운동의 근원지. 조선시대 원각.. 역사이야기 2014.10.31
쇠퇴하는 대전, 이대로 포기할 것인가? 쇠퇴하는 대전, 이대로 포기할 것인가 [기고] 육동일 충남대 교수(공공문제연구소 소장) 육동일2014.10.23 13:43:25 대전이 드디어 도시쇠퇴의 징후를 뚜렷이 보이기 시작했다. 예상했던 일이지만 가히 충격적이다. 최근 대전시의 발표에 따르면, 9월말 현재, 대전시 인구가 153만 5,815명으로 지.. 역사이야기 2014.10.27
富者 나라, 가난한 나라 어디서 갈라지나/송희영 주필 주필·편집인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이사 富者 나라, 가난한 나라 어디서 갈라지나 민주政·低세율·재산權보다 貧富 가를 더 중요한 요소는 유연·신속한 의사 결정 체제 中·日과의 제조업 勝負는 10~20년 후 판가름날 텐데 우물쭈물 한국病 놔둘 건가 송희영 .. 경영이야기 2014.10.21
[사이언스칼럼]명량, 그리고 원자력 리더십의 조건 [사이언스칼럼]명량, 그리고 원자력 리더십의 조건 이재희 한전원자력연료 사장 ▲이재희 한전원자력연료 사장 최근 이순신 장군을 다룬 '명량'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면서 이순신의 리더십을 재조명하는 이른바 '이순신 열풍'이 몰아치고 있다. 영웅으로서의 면모 이면에 한 인간으로.. 원자력 이야기 2014.10.20
그녀가 갑자기 화를 내는 이유 작가 한상복의 여자의 속마음]<85>그녀가 갑자기 화를 내는 이유 기사보내기 페이스북 트위터 온갖 범죄자 심리를 분석해온 프로파일러 권일용 경감. 그가 얼마 전 소설가 백영옥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고백했다. “내가 800명이 넘는 범죄자들을 프로파일링 해본 사람인데요. 딱 한 .. 자유게시판 2014.10.18
명량과 이순신, 임진 왜란, 그리고 오늘/한명기 명지대 교수 ‘명량’과 이순신, 임진왜란, 그리고 오늘/ 한명기 교수 기사보내기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임진왜란이 끝나가던 1598년 11월 이순신은 광양만에서 순천 왜교성에 주둔했던 고니시 유키나가 휘하 일본군의 퇴로를 차단하고 있었다. 퇴각하는 일본군이었지만 .. 역사이야기 2014.10.18
월성원전 1호기 “계속운전, 운명의 반환점을 돌다” 월성원전 1호기 “계속운전, 운명의 반환점을 돌다” [특별기획]모범운영 30年 영광 잇는 ‘새 심장과 두되 장착’ 재탄생 앞둬 IAEA도 인정한 안전성…KINS, 수명연장 적합 평가까지 받아 2014년 10월 13일 (월) 16:32:20 김소연 기자 ksy@knpnews.com 계속운전 여부를 놓고 찬반 논쟁으로 ‘뜨거운 감.. 원자력 이야기 2014.10.14